본문 바로가기

일본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 이치노타니 전투(3) 아오바의 피리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이치노타니 전투(3) 아오바의 피리 칸랴쿠 3년(1184년) 2월 7일은, 겐페이 전투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이치노타니(一の谷) 전투'가 있던 날입니다. 작년인 칸랴쿠 2년(1183년), 파죽지세로 서쪽으로 진군한 키소노 요시나카의 군사에 경을 쫓겨 서해로 교토를 빠져나간 타이라 가문이었습니다.(교토 탈출) 하지만,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 요시나카의 대립으로 겐지가 둘로 나뉘어져 있는 동안에, 야시마(屋島)에서 조금 돌아와 일찍이 타이라노 키요모리가 한때 수도로 정했던 후쿠하라(福原)에 있었습니다. 미나모토 가문 내부의 갈등은 아와즈 전투에서 요시나카가 죽으며 끝나는 듯 했습니다.(아와즈 전투) 이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목표는 다름아닌 타이라 가문입니다. 이에 벌어진 것이 '이.. 더보기
일본 헤이안 시대 역사편; 이치노타니 전투(2) 타이라노 타다노리 전사 일본 헤이안 시대 역사편; 이치노타니 전투(2) 타이라노 타다노리 전사 칸랴쿠 3년(1184년) 2월 7일은, 겐페이 전투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이치노타니(一の谷) 전투'가 있던 날입니다. 작년인 칸랴쿠 2년(1183년), 파죽지세로 서쪽으로 진군한 키소노 요시나카의 군사에 경을 쫓겨 서해로 교토를 빠져나간 타이라 가문이었습니다.(교토 탈출) 하지만,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 요시나카의 대립으로 겐지가 둘로 나뉘어져 있는 동안에, 야시마(屋島)에서 조금 돌아와 일찍이 타이라노 키요모리가 한때 수도로 정했던 후쿠하라(福原)에 있었습니다. 미나모토 가문 내부의 갈등은 아와즈 전투에서 요시나카가 죽으며 끝나는 듯 했습니다.(아와즈 전투) 이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목표는 다름아닌 타이라 가문입니다. 이에 벌어.. 더보기
일본 헤이안 시대 역사편; 이치노타니 전투(1) 히요도리고 절벽 기습 일본 헤이안 시대 역사편;이치노타니 전투(1) 히요도리고 절벽 기습 칸랴쿠 3년(1184년) 2월 7일은, 겐페이 전투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이치노타니(一の谷) 전투'가 있던 날입니다. 작년인 칸랴쿠 2년(1183년), 파죽지세로 서쪽으로 진군한 키소노 요시나카의 군사에 경을 쫓겨 서해로 교토를 빠져나간 타이라 가문이었습니다.(교토 탈출) 하지만,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 요시나카의 대립으로 겐지가 둘로 나뉘어져 있는 동안에, 야시마(屋島)에서 조금 돌아와 일찍이 타이라노 키요모리가 한때 수도로 정했던 후쿠하라(福原)에 있었습니다. 미나모토 가문 내부의 갈등은 아와즈 전투에서 요시나카가 죽으며 끝나는 듯 했습니다.(아와즈 전투) 이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목표는 다름아닌 타이라 가문입니다. 이에 벌어진 .. 더보기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 겐페이 전투(16) 아와즈 전투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겐페이 전투(16) 아와즈 전투 칸랴쿠 3년(1184년) 1월 21일,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頼朝)의 명령을 받은 미나모토노 요시츠네(源義経)와 전투한 키소노 요시나카(木曽義仲)가 비와호 부근인 아와즈에서 패배해 전사했습니다. 17일 노도와 같이 우지가와를 넘어 온 요시츠네군에 요시나카군은 밀리기만 합니다. 때마침, 반목 하고 있던 숙부 유키이에(行家)를 토벌하기 위해, 젖형제 히구치 지로우(樋口次郎)에게 군사를 붙여 배웅했던 직후로 요시나카군은 허술했습니다. 몇 만이라고 하는 가마쿠라에서 온 요리토모의 대군에, 몇 안 되는 수세의 요시나카군이 맞겨룰 수 있을 리도 없습니다. 요시나카 군은 서서히 후퇴합니다. 반면 요시츠네군은 고세를 점령하고 방비를 시작해 로크죠가와라(六条河原)의.. 더보기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 키소노 요시나카 쇼군에 오르다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키소노 요시나카 쇼군에 오르다 칸랴쿠 원년(1184년) 1월 11일, 키소(미나모토)노 요시나카(木曽義仲)가 쇼군에 올랐습니다.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쇼군'은 '정이대장군(征夷大将軍)'입니다. '정이'라고 하는 것은 에조(蝦夷)를 정벌 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정규적으로 있는 직책이 아니라, 정벌을 위해 임시적으로 만들어진 직책입니다. 이 직책은 '정벌'이 목적이기에 무가들을 이끄는 병권을 틀어쥔 직책이기도 했습니다. 그 이후로, 당분간 공백이었던 이 자리는 여기서 '무사의 동량(武士の棟梁)'의 명칭으로 '쇼군'의 이름이 부활하게 됩니다. 불과 십년 뿐이기는 했지만 키소노 요리카는 쇼군에 올라 '사마노카미 겐이요노카미 오사히쇼군 미나모토노 요시나카(左馬頭兼伊予守朝日将軍源義仲)를.. 더보기
일본 헤이안 시대 역사편; 타이라 가문, 교토를 빠져 나가다 일본 헤이안 시대 역사편;타이라 가문, 교토를 빠져 나가다 주에이 2년(1183년) 7월 25일, 타이라 가문이 안토쿠덴노(安徳天皇)를 받들어 교토에서 빠져 나갔습니다. 호쿠리쿠 전투에서의 타이라 가문의 대패는, 교토에도 전해지고 있었습니다.(구라가타토우케 전투) 드디어 미나모토가 공격해 오는 것은 오늘일지, 내일일지 아무도 모릅니다. 교토 내의 집들은 문뿐만 아니라, 창문도 닫고 안에서 염불을 외우고 있었다고합니다. 고시라카와 법황은, 조속히 타이라 가문을 단념하고, 24일에 고쇼(御所)를 빠져 나가 히에이잔에 들어가서 제일 먼저 교토에 올 키소 요시나카(木曽義仲)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이에 타이라 가문은 부득이 법황의 동행을 포기하고, 겐레이 몬인 토쿠코(建礼門院徳子)에 안긴 6세의 안토쿠덴노를 데.. 더보기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 구리카라토우케 전투(4) 시노와라 전투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구리카라토우케 전투(4) 시노와라 전투 주에이 2년(1183년) 6월 1일 타이라 가문이 교토에서 도망가는 원인이 되는 '시노하라 전투'가 있었습니다. '타이라 타도'를 목표를 세우고 호쿠리쿠를 제압한 키소 요시나카에 대해, 타이라노 코레모리(平維盛)를 총대장으로 10만의 대군을 인솔해 온 타이라는, 4월 26일의 에츠젠 히우치카성(燧城)을 공략하고, 5월 3일에 카가를 점령하고 엣츄를 눈앞에 두었습니다. 타이라군은 호쿠리쿠에 서투르기 때문에 앞의 에츠젠, 카가 전투에서 타이라 측으로 배신한 에치젠 헤이센지의쵸우리 사이메이(長吏斎明)의 안내로 엣츄 젠지 세이슌(越中前司盛峻)에게 5천의 군사를 붙여 엣츄로 향하게 합니다. 하지만 먼저 도착한 이마이 가네히라(今井兼平)와 전투가 일어나.. 더보기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 겐페이 전투(13) 요코타 강변 전투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겐페이 전투(13) 요코타 강변 전투 지쇼5년(1181년) 6월 14일, 타도 타이라의 기운이 강해지는 중에, 호쿠리쿠에 요시나카의 이름을 널리 알린 요코타 강변의 전투가 있었습니다. 겐페이 전투가 공공연하게 된 지쇼 4년(1180년) 5월에는, 고시라카와 법황의 아들 모치히토왕(以仁王)이 미나모토노 요리마사와 함께 군사를 일으켜, 8월에는 모치히토왕이 타도 타이라의 영지를 발합니다.(타이라 토벌의 영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이즈에서 군사를 일으켜(이즈 발기), 10월에는 후지가와에서 타이라 가문은 크게 패해 버립니다.(후지가와 전투)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키쇼(미나모토)노 요시나카도 군사를 일으켜 이치하라 전투에서 승리합니다.(이치하라 전투) 신슈의 반 타이라 무장들을 아군으.. 더보기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 겐페이 전투(12) 스노마타가와 전투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겐페이 전투(12) 스노마타가와 전투 지쇼5년(1181년) 3월 16일, 겐페이 전투에서 얼마 안되는 타이라의 대 승리인 전투 스노마타가와 전투(墨俣川の合戦)가 있었습니다. 겐페이 전투가 공공연하게 된 지쇼 4년(1180년) 5월에는, 고시라카와 법황의 아들 모치히토왕(以仁王)이 미나모토노 요리마사와 함께 군사를 일으켜, 8월에는 모치히토왕이 타도 타이라의 영지를 발합니다.(타이라 토벌의 영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이즈에서 군사를 일으켜(이즈 발기), 10월에는 후지가와에서 타이라 가문은 크게 패해 버립니다.(후지가와 전투) 이로인해 후쿠하라로 천도했던 키요모리는 다시 수도를 헤이안쿄로 재천도 해야 했습니다. 그러자 동국의 무장들은 '타이라 가문이 힘을 잃은 것이 아닌가?'라는 .. 더보기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 겐페이 전투(10) 후쿠하라 천도 일본 헤이안시대 역사편;겐페이 전투(10) 후쿠하라 천도 지쇼4년(1180년) 11월 26일, 타이라노 키요모리(平清盛)의 결단에 의해 후쿠하라(福原)에서다시 교토로 천도하게 됩니다. 크게 보기후쿠다이라의 위치 제 80대 다카쿠라덴노(高倉天皇)에게 시집간 딸 토쿠코(徳子)가 차기 덴노인 사내 아이를 낳아, 영화의 정점에 닿은 타이라노 키요모리였지만 이 때를 정점으로 내리막길로 걷기 시작합니다. 키요모리의 독재에 조정은 서서히 불만을 드러내 오기 시작합니다. 이 지쇼4년은 일본 역사의 변환기였습니다. 전년 지쇼 3년(1179년) 8월 1일, 키요모리의 폭주를 멈추는 브레이크의 역할을 하던 키요모리 아들 시게모리(重盛)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한 번 중병을 겪은 키요모리는 후쿠하라에 별장을 지어 아들들에게 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