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 유신시대/역사편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신선조의 전신, 로시구미 결성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신선조의 전신, 로시구미 결성 분큐 3년(1863년) 2월 27일은 신선조의 전신인 '로시구미(浪士組)'가 결성되었습니다. 新撰組라고도도 하고, 新選組라고도 합니다. 국장인 콘도 이사미(近藤勇)도 둘 다 썼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옳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둘다 맞다고 할 수 있죠. 신선조는 원래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徳川家茂)가 상경하기에 즈음해, 그 경비를 담당할 사람을 넓게 모집한 것으로부터 시작합니다. 200명 정도의 섦길 영주를 잃은 무사들이 모여, 쇼군을 옹립해 교토로 향합니다. 그러나 교토에 도착한 뒤, 이 조직의 우두머리였던 쇼나이번의 키요카와 하치로(清河八郎)가 근황파(勤皇派)와 통해 료딘들을 덴노의 부하로 하려고 하고 있는 것이 발각되었습니니다. 이로 인해.. 더보기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키요카와 하치로의 최후와 신선조의 탄생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키요카와 하치로의 최후와 신선조의 탄생 분큐 3년(1863년) 2월 23일 에도에서 모집한 료닌을 인솔해 상경한 키요카와 하치로(清河八郎)가 료닌들의 앞에서, 존왕양이의 의사를 표명했습니다. 카에이 6년(1853년)의 페리 내항(페리 내항)으로, 개국인가 양이인가의 두 조각으로 나누어진 일본은 다음 해, 다시 일본에 방문한 페리에 의해 미일 화친 조약을 맺었습니다. 하지만 다음의 과제 미일 통상조약과 차기 쇼군 문제로, 막부는 두동강이 됩니다. 당대의 쇼군은 제13대 도쿠가와 이에사다였지만 그에게 아이가 없었기 때문에, 차기 쇼군으로 옹립 된 것은 기슈의 도쿠가와 이에모치(徳川家茂)와 미토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아들로, 이치하시 가문의 양자가 되었던 도쿠가와 요시노부(徳川慶喜)였습.. 더보기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막부의 멸망의 시초? 사카시타몬 외의 변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막부의 멸망의 시초? 사카시타몬 외의 변 분큐 2년(1862년) 1월 15일, 에도성 사카시타몬(坂下門) 밖에서, 존양파인 미토번의 료닌등 6명이 로쥬우(老中) 안도 노부마사(安藤信正)를 습격해 부상시킨 사카시타몬 외의 변(坂下門外の変)이 있었습니다. 안도 노부마사는 분큐 2년년(1819년)에 무츠 이와키타이라(磐城平) 번의 제4대 번주 안도 노부요리(安藤信由)의 적남으로서 하이테이(藩邸) 코우카(弘化) 4년(1847년)에 아버지의 죽음뒤에 이어 제5대 번주가 되어 이와키번을 이어, 카에이 4년(1851년)에는 지샤봉공(寺社奉行), 안세이 5년(1858년)에는 와카요시도리(若年寄)가 됩니다. 다음해인 안세이 6년(1859년)에 당대의 다이로우(大老) 이이 나오스케(井伊直弼)가 결행한.. 더보기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오가사와라 나가미치가의 상경 시도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오가사와라 나가미치가의 상경 시도 메이지 24년(1891년) 1월 25일, 히젠 카라츠(唐津) 번주로, 에도 막부 말기, 로쥬우(老中)로 활약한 오가사와라 나가미치가(小笠原長行) 70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분세 5년(1822년)에 카라츠 번주 오가사와라 나가마사의 장남으로 태어난 오사유키는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에, 불과 2세였기 때문에, 가신들의 책략에 의해 '병으로 뒤를 이을 수 없다'고 막부에 보고되어 버립니다. 카라츠번은 나가사키라고 하는 중요 지점을 그 영지로 삼고 있습니다. 2세의 어린 아이를 번주로 세우면, '도저히 수습하지 못할것이다'고, 막부가 작은 영지로 소령이 명령될지도 모릅니다. 결과적으로 오사유키는 4명의 양자의 뒤에 카라츠번을 잇게 됩니다. 그는 천성적으로 .. 더보기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시마즈를 바꾼 나라무기 사건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시마즈를 바꾼 나라무기 사건 분큐 2년(1862년) 8월 21일, 요코하마에서 나마무기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존왕양이파를 힘으로 억누르고 있던 다이로우 이이 나오스케가 사쿠라다몬의 변(사쿠라다몬의 변)으로 암살되어 드디어 막부의 체제가 요동치기 시작했습니다. 막부는 어떻게든 체제를 고쳐 세우려고, 조정과 막부가 협력하고 정치를 실시하는 '공무합체 운동'의 기치를 내겁니다. 그 상징이 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徳川家茂)와 고우메이덴노의 여동생 가즈노미야의 결혼이었습니다. 이 두 사람의 결혼을 추진하고 있던 것이, 사츠마 번의 은거한 번주 시마즈 히사미츠(島津久光)입니다. 그리고 다이묘를 일정기간 교대로 머무르게 하거나, 서양식 군대의 채용 등 분큐의 개혁이라 불리는 막부의 신체제.. 더보기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데라다야 사건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데라다야 사건 분큐 2년 연(1862년) 4월 23일, 사츠마 번사끼리의 항쟁 사건인 '데라다야 사건(寺田屋事件)'이 있었습니다. 타이쇼(大正) 시대가 되어 경진전철(京津電車)이나 교토와 오사카 전철이 개통할 때까지, 여객선인 산짓코쿠부네(三十石船)은 교토~오사카 간의 교통을 담당했습니다. 오사카측은 텐마바시(天満橋)에 있는 하치켄야선착장(八軒屋船着場), 교토측은 후시미(伏見)의 선착장이 중심지였습니다. 또한 교토~오사카간을 육로로 이동하는 쿄카이도우(京街道)도 연결되어 후시미는 확실히 교통의 요지로, 많은 숙박 시설이 늘어서 대단한 활기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그런 후시미에 있는 한 채의 선숙 데라다야는 사츠마 번저가 가깝기도 해 당시, 사츠마번의 정 숙소였습니다. 사건은, 분큐 2.. 더보기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일본 분큐유구 사절단 출항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일본 분큐유구 사절단 출항 분큐 2년(1862년) 1월 22일, 타케우치 시모노카미 야스노리(竹内下野守保徳)을 정사(正史)로 하는 '분큐 유구(遣欧)사절단이, 영국 군함 오딘호를 타 시나가와항을 출항했습니다. 만엔(万延) 원년(1860년)에 예의 칸린마루(咸臨丸)으로 '견미 사절단'을 파견한 일본은 그 후 영국과 프랑스의 공사에게서 재촉을 받아 2년 후의 분큐 2년 (1862년) 1월 22일, 타케우치 시모노카미 야스노리를 장으로 하는 38명이 유럽을 향해 여행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그들의 제일의 목적은 당시 유럽에서 요구되고 있던 에도, 오사카, 효고, 니가타의 개항의 연기를 직접 담판 하는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현지에서는 가라후토(樺太)의 국경 문제에 대한 러시아와의 회담도 예정.. 더보기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이이 나오스케의 각오, 사쿠라다몬의 변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이이 나오스케의 각오, 사쿠라다몬의 변 안세이 7년(1860년) 3월 3일, 다이로우(大老) 이이 나오스케(井伊直弼)가 미토번을 벗어나 떠돌이가 된 뒤에, 료닌에 습격당해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것이 '사쿠라다문의 변(桜田門外の変)'입니다. 안세이 7년(1860년) 3월 3일은 전날 밤부터 내린 폭설로, 일본은 은빛으로 빛나고 있었습니다. 3월 3일은 죠우시(上巳)의 셋쿠(節句)의 날로, 이 날 에도 성내에서는 명절을 축하하는 성대한 축연이 열렸습니다. 성의 망루(櫓)에서는 일정 간격으로 북이 울려 영주들은 그 신호에 따라, 차례로 토쇼우(登城) 중이었습니다. 그 모습을 구경하듯이 바라보고 있던 집단이 있어습니다. 니시노마루로 통하는 사쿠라다몬에 진을 친 그들은, 미토번을 벗어난 료닌.. 더보기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안세이의 큰 옥사 발발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안세이의 큰 옥사 발발 안세이 6년(1859년) 10월 7일, 이이 나오스케(井伊直弼)가 행한 안세이의 큰 옥사로 에츠젠 번사(藩士) 하시모토 사나이(橋本左内)가 참수 되었습니다. 카에이 6년(1853년)의 외국 함선 입항(외국함선 등장)은 개국인가 양이인가로 일본을 두동강이로 나누게 됩니다. 타이밍이 나쁘게, 이 해에 제12대 에도 막부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가 사망해, 4남의 도쿠가와 이에사다가 뒤를 이어 13 대 쇼군이 되지만, 그는 병약하고 아이가 없었기에, 쇼군으로 취임한 직후부터 그 후계자 문제가 부상해 현 쇼군과 혈통이 가까운 기슈 지방 영주 도쿠가와 요시토미(徳川慶福)를 추천하는 난키파와(南紀派)와 전 미토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徳川斉昭)의 7남으로 고산쿄(御三卿)의 .. 더보기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 요절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 요절 안세이 5년(1858년) 7월 6일, 제13대 에도 막부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徳川家定)가 35세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분세 7년년(1824년)에, 제12 대장군 도쿠가와 이에요시(徳川家慶)의 4남으로서 에도성에서 태어난 도쿠가와 이에사다는 매우 병약했습니다. 게다가 기행도 일삼아서, 일설에는 장해를 가지고 있었다고 해서 보통 쇼군으로 능력이 부족하고 있었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한편에서는 독을 이용한 암살을 무서워해 스스로 요리를 해, 특히 과자 만들기는 능숙했다고 하기도 합니다. 메이지 유신 뒤의 신하의 증언에서도 '우수하지는 않지만, 우둔하지도 않았다.'라고 했고, 미국 공사 하리스도 '이상한 행동은 했지만, 말한 일은 확실히 하고 있었다'라고 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