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전국시대/가문편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 큐슈의 패자, 시마즈 가문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큐슈의 패자, 시마즈 가문 전국시대의 큐슈는 류조지, 시마즈, 오오토모 세 가문이 난립하는 마치 삼국지와 같은 형태였습니다. 그 중에서 끝까지 살아남아 전국의 큐슈를 통일하려 한 것은 다름아닌 시마즈 가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천하를 통일해 가는 하시바 히데요시의 큐슈정벌에서 살아남을 수는 없었습니다. 시마즈 가문의 성립 시마즈 가문의 출자에는 코레무네(惟宗), 미나모토 (源), 후지와라(藤原)의 후예라는 세 가지 설이 있습니다. 하지만 미나모토나 후지와라 같은 경우는 단지 자신의 출자를 미화하기 위해서 같다 붙인 것입니다. 실제로는 코레무네 가문의 출자라는 것이 정설입니다. 그들이 시마즈 장(島津庄)을 하사받아 스스로 '시마즈'라 칭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시마즈는 미나모토노 요리모..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 카톨릭 왕국의 꿈, 오오토모 가문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카톨릭 왕국의 꿈, 오오토모 가문 일본 전국시대에 전파된 남만신교(기독교)는 상당히 큰 영향을 끼쳐, 기리시탄(크리스천) 다이묘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그런 기리시탄 다이묘의 대표가 다름아닌 오오토모 소린입니다. '분고의 왕'이라 불렸던 소린의 오오토모 가문에 대해 포스팅 하려 합니다.오오토모 가문의 성립 원래 지금까지는 오오토모 가문의 선조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頼朝)의 서자라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나카하라(中原)가문이 오오토모 가문의 선조라는 것이 정설입니다. 아무튼 '오오토모' 마을에 거점을 둔 이들은 자연스레 스스로를 '오오토모'라 자칭하게 되었습니다. 오오토모의 시조 요시나오(能直)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서 분고국의 수호직을 제수받게 됩니다. 오..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 백제의 후예, 오오우치 가문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백제의 후예, 오오우치 가문 우리와 일본의 밀접한 관계를 이야기 할 때 등장하는 것이 바로 '백제'입니다. 실제로 일본의 덴노가 '백제의 후손'임을 밝혔을 정도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요, 오오우치 가문은 백제 임성태자의 혈통을 지니고 있습니다.오오우치 가문의 성립 백제 성왕(聖王)의 아들인 임성태자(琳聖太子)는 아버지의 명령을 듣고 일본에 문화와 불법을 전하러 가, 그곳에서 살게 됩니다. 이 자손들이 오오우치 마을에 살며, 자신들을 '오오우치'라 자칭하게 된 것이 오오우치 가문의 출자입니다. 오오우치 가문은 점차 번성해 헤이안 시대에도 그 이름을 떨치게 됩니다. 원래 고케닌(御家人)은 아니었지만 점차 위세를 넓혀 고케닌 중 하나로 인정받기까지 합니다. 남북조의 동란에 오오우치 가문 ..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 정토진종의 전파자, 혼간지 가문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정토진종의 전파자, 혼간지 가문 일본 전국시대에 독특한 것 중 하나가 농민들의 봉기로 일어나서 만들어진 종교 국가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농민 봉기는 주로 '잇코슈(일향종)'이라는 종교를 믿는 농민들이 일으켜 '잇코 잇키'라고 부릅니다. 일각에서는 이런 잇키 세력을 '직접 민주주의가 실시된 자치국'이라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만, 실제로는 혼간지 가문이 이끌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들은 잇코슈의 일종인 정토진종을 믿었습니다. 정토진종의 창시 잇코슈를 전파하는 절을 혼간지라고 합니다. 오오타니 묘당(大谷廟堂)을 맡는유수직(留守職)을 제수받은 카쿠뇨(覚如)가 이 묘당을 사원화해서 혼간지가 탄생합니다. 그리고 카쿠뇨의 자손들이 대대로 이 오오타니 혼간지를 맡아 정토진종 전파에 힘을 ..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 최고의 출세, 도요토미 가문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최고의 출세, 도요토미 가문 보통 이 가문편에서 소개하는 가문들은 다 뿌리가 깊고 적어도 3대 이상은 간 가문들 입니다. 하지만 전혀 뿌리없이 등장해, 도요토미 히데요시라는 한 인물에만 포커스가 맞추어진 가문은 도요토미 가문 하나 뿐만이 아닐까합니다. 비천한 신분에서 천하인이 되기까지 토키치로의 아버지인 야에몬(弥右衛門)은 오다 가문의 아시가루 였지만, 화살을 맞아 농민으로 살아갔다고 합니다. 사실 키노시타(木下)라는 성도 야에몬의 대에서 부터 쓰이고 있었다고 하는 사료도 있어, 히데요시가 완전히 농민은 아니고, 반사반농의 토호가 아니었나 하는 설도 있습니다. 아무튼 그는 동생이며 평생의 동반자였던 히데나가(秀長)와 함께 오다 노부나가의 산하로 들어가게 됩니다. 노부나가의 신발을 맡..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 배신의 아이콘 사이토 가문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배신의 아이콘 사이토 가문 일본 전국시대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바로 '하극상'입니다. 이 하극상의 대표격인 가문이 두 곳 있는데 한 군데는 호조 가문이고, 다른 한 군데가 바로 이 사이토 가문입니다. 사실 정확히 말하자면 '탈취당한' 사이토 가문이지요. 사이토 가문의 성립 후지와라(藤原) 가문의 분가인 사이토 가문은 대대로 미노의 수호를 맡는 유서깊은 가문이었습니다. 오닌의 란(오닌의 난)에서는 사이토 시게요리(成頼)가 군세를 이끌고 서군에 서기도 하는 등 세력을 과시했었습니다. 하지만 서군에 참가해 교토에 가있는 동안 지방에서 정치를 하던 묘친(妙椿)의 세력이 성장해, 내란이 일어납니다. 시게요리에게는 다섯 아들이 있었는데, 그는 자신이 편애하는 넷째 아들에게 가독을 상속하려..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 한번의 전투로 멸망, 이마가와 가문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한번의 전투로 멸망, 이마가와 가문 전국시대에 일어나고 몰락한 수많은 가문 중에서 이마가와 가문 만큼이나 한 번의 대패로 몰락한 가문이 또 있을까요? 보통 이마가와 가문은 오다 노부나가의 발판(...)으로 등장하나 사실 요시모토는 엄청나게 유능한 다이묘였고, 그의 아들인 우지자네는 평벙한 다이묘였습니다. 다만 상대가 노부나가였을 뿐이었던 것입니다. 이마가와 가문의 성립 스루가의 센고쿠 다이묘였던 이마가와 가문의 조상은 다름아닌 아시카가 가문입니다. 아시카가 가문이 분가해 이마가와의 마을들을 다스리면서 '이마가와'라 자칭하게 된 것입니다. 호조가문과 덴노의 권력 투쟁인 '나카센다이의 난'에서 아시카가 측에선 이마가와 가문은 스루가, 도토미의 수호직을 제수받게 됩니다. 이 뒤로 이마가와..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 전국의 패왕, 오다 가문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전국의 패왕, 오다 가문 일본 전국시대의 주역 중 하나가 바로 오다 가문입니다. 전국시대는 잘 몰라도 오다 노부나가에 대해서 아는 사람은 수없이 많지요. 그런 오다가문의 파란 만장한 역사를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오다 가문의 기원 보통 오다 가문은 타이라(平) 가문의 후계로 여겨집니다. 타이라 가문은 덴노 가문의 분가로, 헤이안 말기 미나토모노(源) 가문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의 명가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내쫓고 권세를 차지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라는게 정설이고, 실제로는 후지와라(藤原) 가문의 혈통일 것입니다. 노부나가의 기틀을 마련하다, 오다 노부히데 오다 노부히데(信秀)는 노부나가의 아버지입니다. 위에 거창하게 써놓기는 했지만 당시 노부히데의..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 전국시대의 쇼군, 아시카가 가문 일본 전국시대 가문편;전국시대의 쇼군, 아시카가 가문 일본 전국시대에 태어나고 지는 수많은 가문 중에서 가장 크게 몰락한 것은 다름아닌 이 아시카가 가문일 것입니다. 아시카가 가문은 전국시대의 쇼군 가문으로, 결국 도쿠가와에게 그 자리를 내주고 만 비극의 가문이기도 합니다. 아시카가 막부의 성립 가마쿠라 시대의 아시카가 가문은 당시 실권을 잡고 있던 호조 가문과 인척관계를 지닌 유력 가문 중 하나였습니다. 당시의 아시카가 가문은 미카와 수호, 카즈사 수호를 맡을 정도 였습니다. 그러나, 호조 가문이 전제정치 강화로 힘을 잃어, 가마쿠라 말기에는 평민과 다를 바 없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난태평기(難太平記)」에 따르면, 아시카가 가문에는 '미나모토노 요시이에(源義家)의 7대손이 천하를 취할것이다.' 라고..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