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안세이 대지진으로 후지타 토고 사망
안세이 2년(1855년) 10월 2일, 오후 10 시경에 발생한 안세이 대지진으로 후지타 토고(藤田東湖)가 죽었습니다.
후지타 토코는 미토번의 쇼우코관(彰考館)에 근무하는 후지타 유우코쿠(藤田幽谷)의 차남으로 분카 3년(1806년)에 태어났습니다. 쇼우코관은 미토번의 2대째 지방 영주였던 미토 고몬(水戸黄門) 도쿠가와 미츠쿠니(徳川光圀)가 시작한 미토번의 중대사업인「대일본사(大日本史)」의 편찬을 실시하고 있던 부서에서 21세 때에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그것을 상속해 일을 계속하고 있었습니다. 아버지인 유우코쿠는 헌옷가게의 아들인 낮은 신분을 지니고 있었으나, 그 우수함을 주목받아 대발탁된 것입니다.
후지타 토고
그의 아들인 토코가 이어받은 것은 토코의 우수함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미토학(水戸学)파의 리더적였던 아버지의 아래에서, 어릴 적부터 열심히 미토학을 공부한 그는 아버지를 이어 미토학파의 리더적 존재가 되어 있었습니다. 미토학을 간단히 말하자면 '존왕천패(尊王賤覇)' 즉, '황통을 계승하는 조정은 고귀하고, 무력으로 패권을 잡은 막부는 천하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주자학적 역사관에 의한 학문입니다만, 도쿠가와의 영향력이 큰 미토에서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은 이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알고보면 이 미토학은 막부를 안정시키는 논리로 흐를 수도 있습니다. 막부가 넘어질 수 있다는 것은 언제든지 하극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막부는 스스로가 덴노 밑에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함으로서 막부의 위치를 확고히 하려고 합니다.
또한 고귀한 덴노가 지배하는 신의 나라인 일본은, 문화적으로도 무력적으로도 외국에 범해져서는 안 되는 것으로 이어져, 존왕양이의 사상으로도 연결됩니다. 이 존왕양이가 막부를 쓰러뜨리는 것으로 연결되는 것은 좀 더 후의 일로, 현단계에서는 어디까지나 막부를 위한 존왕양이 사상입니다. 그런 미토학이 힘을 기르는 계기가 된 것은, 미토번의 지방 영주 교대 사건이었습니다. 제8대 번주 나리노부(斉翛)에 적자가 없었던 것으로 미토번의 보수파는 나리노부의 부인인 11 쇼군 이에나리(家斉)의 딸이었기에 그의 아들을 양자로 해 후계로 추대하려 했습니다. 한편, 혁신파는 나리노부의 동생 나리아키(斉昭)를 후계자로 세우려 했습니다.
결국 나리아키가 미토번의 번주가 되어 미토번은 혁신파가 좌지우지하게 됩니다. 이 때, 나리아키를 추대한 이 중 한 명이 토고였습니다. 그는 곧 소바요닌(側用人) 중 하나가 되어, 코오리 봉공(郡奉行), 시라베야쿠(御用調役)등 핵심적인 직위들을 차지하게 됩니다. 이런 존왕양이의 사상은 페리가 내항한 사건 이후로 크게 변하게 됩니다.(페리 내항) 무력하게 외국 세력에게 무너지자, 막부는 덴노의 권위를 빌어 이것을 해결하려 합니다. 하지만 당대의 덴노 121대 타카아키덴노는 외국을 매우 싫어했기에, 어쩔수 없이 대로(大老) 이이 나오스케(井伊直弼)가 덴노의 허가를 받지 않고 무작정 미국화 수호통상조약을 맺어버렸습니다. 막부는 스스로 월권행위를 행한 것입니다. 게다가 안세이의 옥사(安政の大獄)로 반대파를 탄압하자, 존왕양이의 사상은 점차 막부 토벌로 향해 갑니다.
옥사의 전에 차기 쇼군 옹립에 실패한 토고는 실각했었습니다만, 그는 유폐 중에도 「회천시사(回天詩史)」라는 서적을 집필해, '이런 위기일수록 충군애국의 정신으로, 국가를 위해서 생명을 바쳐야 한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회천시사는 존왕양이파의 지사들에게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정말 돌연히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안세이 2년 10월 2일 오전 10시경에 일어난 메그니튜드 6.9의 지진에 의해 연로한 어머니를 살리고 죽음을 맞이하고 말았습니다.
'일본 유신시대 > 역사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유신의 시작이 된, 쇼카손주쿠 (0) | 2013.02.02 |
---|---|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초대 미국 주일 영사 하리스 부임 (0) | 2013.02.01 |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막부, 구경 금지령 발포 (0) | 2013.02.01 |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시나가와에 오다이바 포대 건설 (0) | 2013.02.01 |
일본 유신시대 역사편; 페리제독이 우라가항에 입항 (0) | 201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