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케다

일본 전국시대; 다케다가 멸망하다 일본 전국시대;다케다가 멸망하다 덴쇼 10년(1582년) 오다, 도쿠가와 연합군에 추적당하던 다케다 가쓰요리(武田勝頼)가 처자와 함께 가이 덴모쿠산(天目山)에서 할복 했습니다. 덴쇼 3년(1575년)에 일어난 나가시노 전투(나가시노성 공방전)에서 일반적으로는 오다 노부나가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연합군이, 가쓰요리가 인솔하는 다케다군에 압승한 것 같이 그려지는 유명한 전투입니다. 하지만 전투가 8시간에 달했다고 하는 것을 보면 한 쪽의 압승이라기 보다는 일진일퇴의 격전이었을 것 같습니다. 어찌되었든 간에 이 전투로 바바 노부하루, 야마가타 마사카게, 나이토 마사토요 등 신겐 때 부터의 중신들이 죄다 전사한 것도 사실입니다. 산간벽지 가이에서 발호해 전국 다이묘가 된 다케다 신겐 덕에 가쓰요리는 늘 부담을 ..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노부나가 다케다를 토벌하다 다카토성 공방전 일본 전국시대;노부나가 다케다를 토벌하다다카토성 공방전 덴쇼 10년(1582년), 오다 노부타다(織田信忠)에 공격받은 니시나 모리노부(仁科盛信)가 분전의 뒤의 할복 해 다카토성(高遠城)이 점령 당했습니다. 덴쇼 8년(1580년), 10년에 걸쳐서 계속 되고 있던 이시야마 혼간지와의 전투(텐노지 전투)에 결착을 붙인 오다 노부나가는 기나이에 적이 없게 되어, 드디어 다케다 공략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덴쇼 9년(1581년)에는, 노부나가와 동맹인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다케다령의 서쪽의 요충지 타카마 카미성을 탈취합니다.(타카마 카미성 공방전) 이에 대항하는 다케다 가쓰요리는 본격적으로 신푸성을 구축하고, 고후에서 니라사키로 거점을 옮기고, 군단을 한층 더 강화시키려 합니다. 하지만 타카마카미성을 잃은..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요다 노부시게, 타나카성의 성문을 열다 타나카성 공방전 일본 전국시대;요다 노부시게, 타나카성의 성문을 열다타나카성 공방전 덴쇼 10년(1582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공격받고 있던 다케다의 산하 스루가 타나카성(田中城)의 요다 노부시게(依田信蕃)가 성을 넘겼습니다. 덴쇼 3년(1575년) 나가시노 전투(나가시노성 공방전)로 아버지 신겐의 시대부터의 많은 가신을 잃은 가이의 다케다 가쓰요리(武田勝賴)였지만, 아직 스루가의 영지는 건재하고, 서쪽의 요충지인 타카마카미성도 확보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덴쇼 6년(1578년) 초에 우에스기 겐신이 죽은 일로 발발한 미타테의 란(미타테의 란)에서 가쓰요리는 호조의 딸을 아내로 맞이했음에도 불구하고 호조와 동맹을 맺은 카게토라가 아닌 카게카쯔를 후원합니다. 물론, 카게카쯔가 준 돈 때문이었겠지만, 이로 인해 다케다와 ..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다케다 멸망의 서곡, 타카마 카미성 공방전 일본 전국시대;다케다 멸망의 서곡, 타카마카미성 공방전 덴쇼 9년(1581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다케다 가쓰요리(武田勝頼) 부하 오카베 모토노부(岡部元信)가 지키는 토노에(遠江), 타카마 카미성(高天神城)를 점령한 제3차 타카마 카미성 공방전이있었습니다. 나가시노 전투에서 하도 심하게 패하여 아버지의 이름값을 못한다는 혹평을 비하지 못하는 다케다 가쓰요리지만, 사실 영지의 크기 자체만 두고 보면 가쓰요리 때가 조금 더 커졌습니다. 물론, 다케다 신겐이 물려준 강대한 군사력과 탄탄한 내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을 잊으면 안되겠지만 말이죠. 어쨌든 이런 가쓰요리의 영지 확대의 상징이 도토미와 스루가의 국경에 있는 타카마 카미성이었습니다. 이 성은 원래 오가사와라(小笠原氏)가의 거성이었습니다. 하지만 가..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제1차 가와나카지마 전투 후세 전투 일본 전국시대;제1차 가와나카지마 전투 후세 전투 텐몬 22년(1553년) 사이강을 건너 후세(布施)에 포진 하고 있던 우에스기 겐신의 군이, 다케다 신겐군의 선봉군을 격퇴했으니, 이것이 바로 제1차 가와나카지마 전투의 후세 전투 입니다. 겐신과 신겐은 최고의 라이벌 답게 치열한 가와나카지마 전투를 벌였는데, 이 가와나카지마는 총 5회에 걸쳐 벌어지지만, 제일 치열하고 1:1 대결마저 있는 제 4차 전투를 일반적으로 가와나카지마전투로 간주합니다. 아무튼 제1차와 제2차의 전투 사이에 이번에 다룰 후세 전투가 일어났습니다. 에치고의 우에스기 겐신(당시는 나가오 가게토라)을 의지한 요시키요는 카츠라오성을 탈환합니다. 이것이 제1차 가와나카지마의 전투의 서막, 사라시나 야와타 전투입니다. 겐신의 개입을 안 신..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제1차 가와나카지마 전투의 전초전 시라시나 야와타 전투 일본 전국시대;제1차 가와나카지마 전투의 전초전시라시나 야와타 전투 텐몬 22년(1553년) 다케다 신겐에게 카츠라오성을 빼앗긴 무라카미 요시키요가 신겐의 진을 습격한 사라시나 야와타 전투(更級八幡の戦い)가 있었습니다. 이를 일반적으로 제1차 가와나카지마 전투로 간주하는 듯 합니다. 에치고의 수호인 우에스기가 부하 수호대 나가오 다메카게가 하극상으로 우에스기의 실권을 빼앗아 에치고의 지배에 나서지요. 다메카게의 사후 형제 사이 상속자 분쟁이 일어나고, 거기서 승리해 카스가야마성(春日山城)에 들어온 것이 바로 나가오 가게토라, 후의 우에스기 겐신입니다. 그러나 겐신이 상속한 무렵 아직 에치고의 북쪽에는 아가키타슈(揚北衆)라고 불리는 고쿠진들이 독자적으로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에 내분 상태가 계속 되고 있어 ..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다케다군의 뼈아픈 패배 토이시 괴멸 일본 전국시대;다케다군의 뼈아픈 패배 토이시 괴멸 텐몬 19년(1550년) 가이의 다케다 신겐이 적대하고 있던 무라카미 요시키요(村上義清)의 거점 토이시성(戸石城)에 총공격을 실시했습니다. 시나노의 스와를 정복한 신겐은 시나노 동부도 그 손아귀에 넣기 위해서 텐몬 17년(1548년)에 그 근처 일대를 영지로 둔 카츠라오성의 성주 무라카미 요시키요를 공격합니다. 그러나, 우에타바루의 전투 뒤에 중신 이타가키 노부가타나 아마리 토라야스를 잃는다고 하는 충격을 받아 시나노 동부 평정은 당분간 휴지됩니다. 이윽고 텐몬 19년(1550년) 신겐에게 패주 한 나가토키(長時)가, 그 무라카미 요시키요를 의지한 뒤로, 신겐과 요시키요의 갈등이 다시 표면화합니다. 그해 8월 요시키요의 거점 성, 토이시성를 포위한 신겐은..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승리일까 패배일까? 신겐과 우에타바루 전투 일본 전국시대;승리일까 패배일까? 신겐과 우에타바루 전투 텐몬 17년(1548년) 가이의 다케다 신겐과 시나노의 무라카미 요시키요(村上義清)의 '우에타바루 전투'가 있었습니다. 시나노의 동부에 세력을 넓히는 다케다가, 그 세력은 카츠라오성(葛尾城)의 성주 무라카미 요시키요의 영지의 근처까지 다가갔습니다. 무라카미 요시키요는 당시 시나노 일대에서 가장 큰 세력을 가지고 있던 무장입니다. 소규모 전투를 계속하면서, 간신히 텐몬 16년(1547년)에 사쿠군의 시가 성주 카사하라 키요시게를 격파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신겐은 드디어 오가타로 진공합니다. 드디어, 요시키요가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신겐이 치는 곳이 요시키요의 동맹국들이었기 때문에 더 이상, 신겐의 기세가 커지면 그들 중에는 다케다로 등을 돌리는 세력..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신겐의 시가성 공략 일본 전국시대;신겐의 시가성 공략 텐몬 16년(1547년) 8월 17일, 다케다 신겐에게 공격받은 시나노 시가성(志賀城)의 카사하라 키요시게(笠原清繁)가 전사해 시가성이 함락 했습니다. 신겐이 시나노로 진공해 텐몬 11년(1542년) 스와를 시작으로, 이나다니(伊那谷)에 진출하는 한편으로, 사쿠 방면에도 쳐들어가, 텐몬 15 년(1547년) 우치야마성의 오오이 사다키요를 항복시킨 신겐은 텐몬 16년(1547년) 카사하라 키요시게(笠原清繁)이 지키는 시가성을 포위했습니다. 시가성은, 국경의 요세이시산(寄石山)의 능선에 쌓아 올린 산성이기 때문에, 단단한 성으로 그 성을 지키는 키요시게도 그 자연의 요충지에 둘러싸인 철벽의 성에 자신을 가지고 있었는지 신겐의 군세를 보아도 당황하지 않고 우에노 히라이성(平井..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후쿠요성 공방전과 코마이 코우하쿠사이 일본 전국시대; 후쿠요성 공방전과 코마이 코우하쿠사이 텐몬 11년(1542년) 다케다 신겐 부하인 코마이 코우하쿠사이(駒井高白斎)가, 후지사와 요시사카(藤沢頼親)가 다스리는 후쿠요성(福与城)을 포위했습니다. 텐몬 10년(1541년) 아버지 노부토라를 추방한 다케다 신겐은 이웃나라의 시나노에 진공하고 있던 아버지를 계승해 신겐에 의한 시나노 진공이 본격적으로 개시됩니다. 그래서 스와를 점령하지요. 이번에는 강탈한 스와의 통치를 둘러싸 신겐과 타카토오 요시쯔구(高遠頼継)가 대립합니다. 여기서 신겐은 죽인 스와 요시시게의 아이 토라오우(호를 전면에 내세워 요시쯔구 토벌을 시작합니다. 저번에도 말했듯이 요시시게의 부인은 신겐의 여동생으로 토라오우는 스와 종가의 후계자인 것과 동시에 타케다의 피도 계승하고 있었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