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 전국시대/역사편

일본 전국시대; 미미가와 전투(2) 미미가와 전투의 막이 오르다 타카기카와 전투

일본 전국시대;

미미가와 전투(2)

미미가와 전투의 막이 오르다

타카기카와 전투


 덴쇼 6년(1578년)  분고의 오오토모 소린과 사츠마의 시마즈 요시히사와의 미미가와 전투의 초전 타카기카와 전투가 있었습니다.


덴쇼 5년(1577년)의 기자키가하라 전투로 인해 사츠마의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에게 대패를 당해, 휴우가의 남쪽을 빼앗긴 이토 요시스케(伊東義祐)가 구원을 요청해, 시마즈와의 항전을 결의한 분고의 전국 다이묘 오오토모 소린은  휴우가의 땅 일부 양도를 약속받아, 크리스찬의 이상향 뮤지카를 지으려 했습니다. 이전의 부인과 이혼하고 크리스천인 새부인 쥴리아를 맞이해 본인도 돈 프란시스코로 개명해, 아들에게 다이묘 자리를 주고 출진합니다. 소린은 3만 5천의 군세를 해로로 이끌어 용이하게 후유가로 진출해 뮤지카를 건설했습니만, 별동대로 출진한 중신 타와라 치카카타가 인솔하는 2만의 군세가 육로에서 남하해, 시마즈와의 세력 경계선인 미미가와를 건너 시마즈가의 영지 타카성(高城)으로 진군했습니다.



 타카성은 타카기카와와 타니세토카와(谷瀬戸川)의 침식에 의해서 생긴 돈대에 세워져 있어 삼면이 벼랑이 둘러 싸여 있고, 평탄한 서쪽 방향은 해자로 방어되고 있었습니다. 오오토모군은 성의 북측에서 다키타 시게카네(田北鎮周), 동쪽에서 호시노 시네타게(星野鎮種), 성의 동쪽에 사에키 소우텐(佐伯宗天)을 배치해, 총대장인 다와라 시게쓰나(田原 紹忍)는 소우텐의 후방에 진을 쳐 타카성을 포위합니다. 



 한편, 타카성을 지키는 야마다 아리노부(山田有信)는 이 오오토모의 움직임을 본국 가고시마에 알리는 것과 동시에, 2 km정도 남쪽에 위치하는 사도하라성(佐土原城)의 시마즈 이에히사(島津家久: 요시히사의 막내 아우)에게도 알립니다. 이 소식을 들은 이에히사는 즉석에서 행동을 개시해 오오토모세의 포위를 뚫고, 타카성에 입성합니다. 이 원군에 의해, 성내의 군사는 3천이 되었습니다만, 그래도 여전히 수의 차이는 엄청났지요. 오오토모군은 당시 최신예의 무기 쿠니즈시(国崩)로 타카성을 공격합니다. 쿠니즈시는 소린에게 포르투갈인들이 선물한 불랑기포입니다. 불량기포는 후방에서 포탄과 화약을 담는 방식의 대포입니다. 당시 최신예의 무기로, 유럽에서 쓰였다고 하니, 이를 처음본 시마즈측은 당황했지만, 오오토모측도 처음 다뤄보는 무기라 제대로 된 타격은 없었다고 합니다.


소규모 전투로 시간을 벌면서 농성을 계속하는 타카성을 돕기위해 아리노부로에게서 소식을 들은 당주 시마즈 요시히사는 스스로 3만의 대군을 인솔하고 가고시마를 출진해, 사도하라성에 도착했습니다. 여기저기서 집결한 시마즈의 총 군세는 5만에, 이에 대항하는 오오토모군에도 원군이 도착해 총원 6만이 모여 큰 결전이 다가오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결전이 가까워졌을 무렵에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 요시히사의 동생)는 복병을 심기 위해 보다 타카성에 가까운 타카라베성(財部城)에 들어갑니다. 이 사이에 계속 된 비에 의해, 태풍의 눈에 있던 조용한 전장의 막이 오른 것은 덴쇼 6년(1578년) 겨울의 대낮이었습니다. 전날의 밤 10 시경 야음을 틈타 4천 남짓의 요시히로의 복병이 강을 건너 소우텐의 진과 그 뒤의 대장 시게쓰나의 본진 사이에 은밀하게 들어가, 때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입니다. 복병이 있는 것은 알지 못했던 오오토모 군사들의 눈 앞에, 갑자기 시마즈의 군이 나타났습니다.


시마즈군의 갑작스런 기습!


 허를 찔려 기습된 오오토모군은 혼란에 빠졌습니다. 이에 요시히로의 군사는 소우텐의 진을 태운 뒤에 아침 일찍 타카라베성을 나온 요시히로의 나머지 군세가 더해져 교전을 시작합니다. 다른 오오토모의 진에서 반격을 하려고 시도합니다만, 그러자 타카성에서 농성하던 성병들이 견제를 걸어 오오토모군은 완전히 분단 된 형태가 되어, 반격다운 반격도 하지 못하고 500남짓의 전사자를 내며 대패해 버렸습니다. 5만의 시마즈와 6만의 오오토모로 호각의 전투가 되어야 할 전투였지만, 뚜껑을 열어 보면 시마즈의 대승리였지요. 아마 총대장의 유무가 큰 원인일 것입니다. 크리스트교국가 건설에 매진하는 오오토모 소린이 신경을 못 쓴 것이 더 큰 혼란으로 이어져 있지 않나 싶습니다. 


 아무튼 이날 밤 요시히사의 본대 3만이 네지로자카(根白坂)에 도착합니다. 돈대 지형인 이곳은, 타카성과 그 주변의 강변에 포진 하는 오오토모의 군세를 한 눈에 볼 수 있었다고 합니다. 다음날의 결전을 앞두고, 판세를 읽으며 책을 가다듬는 시마즈와 대비되게 오오토모군에는 주군 소린의 부재로 여러 의견이 난무하는 혼란스런 군의가 계속되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