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전국시대/인물편/영주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본 전국시대 영주편; 멍청한 것인가 시대를 잘못만난 것인가, 이마가와 우지자네 일본 전국시대 영주편;멍청한 것인가 시대를 잘못만난 것인가, 이마가와 우지자네 덴쇼 3년(1575년), 이마가와 우지자네(今川氏真)가 상경해 교토 쇼코쿠지(相国寺)에서 부친의 원수, 오다 노부나가와 대면했습니다. 동해도 제일궁이라 불리며 천하를 노리던 이마가와 요시모토는 당시 일개 시골 무장이었던 오다 노부나가의 칼에 오케하자마(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쓰러지고 맙니다. 죽은 아버지의 뒤를 이은 것은 바로 이마가와 우지자네입니다. 보통 우지자네는 아버지만 못해 나라를 망친 리더로 묘사됩니다. 그러면 정말로 우지자네는 무능했을까요? 다케가의「고요군감」은 신겐을 빨아주는 것으로 유명한데, 여기서는 우지자네를 비판하지만, '마음은 매우 강하다'라고 표현했습니다. 당시 상황상 훌륭한 리더였던 요시모토의 급작스런 부..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역사편; 오다 노부나가, 히에이잔 렌라쿠지를 토벌했다? 일본 전국시대 역사편; 오다 노부나가, 히에이잔 렌라쿠지를 토벌했다? 겐키2년(1571년) 오다 노부나가가 히에이잔 렌라쿠지를 토벌했습니다. 전국시대의 승려에 대해서는 다음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전국시대의 승려) 히에이잔 렌라쿠지는 12세에 출가한 사이쵸(最澄)가 렌라쿠 4년(785년)에 승려의 자격을 얻은 직후 히에이잔에 입산합니다. 그 후, 코우닌(弘仁) 14년(823년)에 렌라쿠지로 이름을 바꾼 천태종의 총본산입니다. 이 당시 절은 단순히 종교기관이 아니었습니다. 정치와 종교아 완전히 구분되지 않았었기 때문에, 절은 많은 승병을 거느리는 군사 세력이기도 했습니다. 제72대 시라카와덴노는 심지어'내 생각대로 되지 않는 것은, 카모강의 물의 흐름, 주사위의 눈 그리고 히에이잔의 승병이다'라고 했다고 ..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영주편; 가이의 범, 다케다 신겐의 수수께끼 일본 전국시대 영주편;가이의 범, 다케다 신겐의 수수께끼 역사는 우리가 직접 보고 들은 것이 아니기에, 많은 수수께끼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전국시대도 예외는 아닌데요, 오늘은 다케다 신겐의 수수께끼들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1. 초상화의 수수께끼 다케다 신겐의 초상화로 널리 알려진 위의 초상화가 사실은 신겐의 초상화가 아니지 않나 라는 지적이 있습니다. 그는 39세에 출가해 삭발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위의 그림에는 아직 구렛나룻이 남아있지요. 그리고 옷이나 칼의 가문 문장이 다케다의 히시몬(菱紋)이 아니고, 아시카가나 하타케야마가 쓰던 후타츠비키료우몬(二引両紋)입니다. 게다가 후방에 있는 새는 노토(能登)의 새이지요. 그래서 상기의 이유들로 하타케야마 요시쓰구(畠山義続)의 초상이 아닌가 하는.. 더보기 일본 전국시대 인물편 일본 최초의 크리스트교 영주, 오오무라 스미타다 일본 전국시대 인물편일본 최초의 크리스트교 영주, 오오무라 스미타다 덴쇼 7년(1579년), 히젠의 오오무라 스미타다가 나가사키,모키를 예수회에 기탁했습니다. 비젠 시마바라의 전국 다이묘 아리마 하루즈미(有馬晴純)의 차남 오오무라 스미타다(大村純忠)가 오오무라가의 양자가 된 것은 불과 4세 때였습니다. 당시, 시마바라 반도에는 몇개의 가문이 있었지만 그 세력이 커봐야 쿠니진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아리마가만은 시마바라 반도 일대에 자랑하는 세력을 가지는 영주였기에 여러 쿠니진들은 이 아리마가에 종속되는 형태로 균형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런 중 텐몬 7년(1538년), 아리마가가 한층 더 세력 확대를 도모해 이웃나라의 오오무라가에 보낸 것이 스미타다입니다. 장래에 스미타다가 오오무라가의 당주가 되어 아.. 더보기 이전 1 다음